HUFS GSECE
[24-1] 교육학개론
2. 교육의 역사적 기초

제2장. 교육의 개념적 기초

💡
2024년 3월 21일 (목) 18:30 ~ 20:00

1. 교육사 학습의 필요성

2. 교육의 발생과 제도적 교육의 전개

3. 서양교육의 역사적 전개


💡
2024년 3월 28일 (목) 18:30 ~ 20:00

4. 한국교육의 역사적 전개

(1) 한국의 전통적 교육

  • 형식교육에 영향 : 유교
  • 비형식교육에 영향 : 불교

언제 그런 유교/불교 사상이 넘어왔냐? 정확히 모름. 그런데 기록 상으로는 고구려 시대에 '태학'이라는 것이 있었고, 거기서 귀족 자제 대상으로 유학 교육을 시켰다고 한다.

근데 왜 고구려?

  • 고구려 - 중국과 육지로 연결됨. 교류가 잘 이뤄짐.
  • 신라 - 보수적, 전통적, 토속적
  • 백제 - ?? (기록이 없음)
    • 백제에는 박사라는 제도가 있었음. (한국에는 기록이 없는데 일본 기록에 있음)
    • 중국과 교류 잘 했을 것 같은데... 기록이 없음.

유교는 무슨 사상?

중국에 엄청 혼란했던 춘추전국시대가 있었음. 그 혼란한 사회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서 유교 사상이 나왔음.

유교의 기본 사상 - 수신제가치국평천하

임금과 신하가 있다. 임금은 어떻게 해야하고 신하는 어떻게 해야하는가? 윗 사람 - 아랫사람, 남자 - 여자, 친구 - 친구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어야 하는가? => 충효 사상이 아주 중요

인재 양성과 선발

  • 삼국/통일신라
    • 태학 (고구려) : 귀족 자제 대상 유학 교육
      • 경당 : 국가 주도가 아닌 사적 교육
    • 오경박사 (백제)
    • 화랑도 (신라) : 신라는 보수적, 전통적, 토속적 특징을 가짐 (바다, 산으로 둘러쌓여있어서)
      • 화랑 : 주로 귀족 자녀가 맡았고, 그들이 모여서 단체, 집단 훈련을 함.
      • 집단 훈련? : 신라 전지역을 돌아다니면서 호연지기를 키운다. 그러면서 리더를 키움.
      • 불교 : 탈세속적 => 예를 들어 뭐가 잘 안된다. 그러면 불교는 그건 전생에 악업을 지었기 때문이라고 함. 그래서 이번 생에는 착한 일을 해야 한다고 함.
        • 세속 5계 : 죽이지 마라. 도둑질 하지 마라. 거짓말 하지 마라. 술 마시지 마라. 음란하지 마라. (화랑도에서도 이런 식의 교육을 했을 것)
      • 임전무퇴, 살생... (뭐지?)
    • 국학, 독서삼품과 (통일신라)
      • 신라가 통일한 뒤에는 화랑도를 안 하고, 중국에서 제도를 가져와서 국학, 독서삼품과를 만듦.
      • 화랑도는 전국을 돌아다녔는데, 국학은 한 곳에서 모여서 함. => 문쪽에 더 치우치게 됨
  • 고려
    • 과거제도 도입, 문음제
      • 과거제도를 통해 올라간 사람들도 사실 위로 아주 높이 가기까진 어려움이 많았음.
      • 그리고 과거제도는 조건이 없었음. (호족 출신이 아니더라도, 귀족 출신이 아니더라도, 평민 이상만 되면 능력이 있으면 올라갈 수 있었음) => 입신양명, 출세, 가문을 일으킴
    • 관학 - 국자감, 학당, 향교
    • 사학 - 12도, 서당
      • 사학이 엄청 많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 큰것만 모으면 12개 => 그게 12도
      • 사학에서 엄청나게 많이 유학을 가르쳤는데, 그러면서 고려 후기에는 유학자(성리학자)가 많이 나옴
  • 조선
    • 과거제도 개편 (문과, 무과, 잡과) : 무인도 뽑았고, 잡과는 비교적 대우를 못 받았음.
      • 문과는 (사실상) 양반 출신만 가능
      • 소과, 대과
      • 유교적 성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
      • 사실 기본적으로는 지원 제한이 없긴 한데, 사실 과거를 보려면 경제적 여유 자체가 있어야 한다.
    • 관학 - 성균관, 4학, 향교
      • 성균관 : 고려 시대의 국자감이 바뀜
    • 사학 - 서원, 서당
      • 사학은 고려만큼 성행하지는 않음

조선 후기 유교적 교육의 변용

실학자의 등장

교육기관이 쇠퇴한다. 교육이 변질되고 기관이 제 역할을 못하고 선발 제도 (과거)가 잘 동작하지 않음.

=> 그래서 실학자가 등장함. 실학자는 유교적 사상을 버리고, 실학적 사상을 가짐.

실학자의 한계

이들도 유학자였음. (신분제/사회적 제약)

한국의 근대교육

  • 개항기 이후 전통교육과 급격한 제도적 단절

식민지 시기 제도교육의 전개

  • 초등학교 -> 국민학교
  • 식민지배 이데올로기 - 왜곡된 교육
  • 근대적 학제
  • 학력주의 : 일본유학을 디게 많이 갔고... 경성제국대학

해방과 교육체제의 재구축

해방? 내가 스스로 주권을 찾지 못하고, 다른 나라가 나를 해방시켜줌.

갑자기 해방이 되어버려서 미국이 들어왔는데, 그쪽에서도 이 나라를 움직일 사람들이 필요했고.

그래서 보니까 일제 시대때 중간 관리자 했던 사람들이 결국 미국에 충성하면서 중간 관리자로 쓰였음.

=> 일본식 교육제도 + 미 진보주의 교육원리 도입


결혼식 : 한국식 + 서양식